[중국, CHINA]




● 여행유의(일부) 중국ㆍ북한 국경지역 : 단둥시, 관전만족자치현, 집안시, 백산시, 임강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안도현, 화룡시, 용정시, 도문시, 훈춘시
● 여행자제(일부) 티벳, 신장자치구
[치안 상황]
-
가.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ㅇ 베이징은 중국의 개혁개방과 92년 한중수교이후 비교적 양호한 치안상태를 유지해 왔고,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통해 북경의 안전한 치한상태를 확인한바 있습니다.
ㅇ 그러나, 중국 베이징을 대표하는 거리인 창안제(長安街)에서 1989년 텐안먼(天安門) 민주화 운동 이후
20년만에 처음으로 집단시위가 발생했습니다. 중국의 저명한 예술가 10명이 22일 오후 예술구역 강제철거에
항의하는 집단시위를 벌였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에서는 텐안먼사태처럼 반체제적이지 않으며 정부에 커다란
위협이 되지는 않지만 불법적 토지 수용, 사회보장 혜택강화, 정부기관 권한남용 등 각종 사회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베이징에서 지속적으로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ㅇ 최근 발생되는 시위장소는 외국인의 출입이 잦은 관광지나 외국인 밀집지역이 아니어서 외국인에 대한 피해는
현재까지 없습니다. 그러나, 외국인이 시위에 참가하거나 시위지역을 지나칠 때 신변안전에 대한 주의가 요망
됩니다.
ㅇ 또한, 중국에서 아국인이 중국인과 사업을 하다가 대금지불, 수익금분배 등의 이유로 한국인을 납치 감금하여
돈을 요구하는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중국에 체류하고 있는 유학생과 교민들의 한국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적 보이스피싱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한국내 가족은 중국내 가족과 수시 연락을
통해 안전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겠습니다.
나.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ㅇ 최근 베이징은 여성을 상대로 하는 성추행 사례, 외국인을 상대로 한 바가지 상술, 소지품 절도, 폭력배 동원
협박, 폭행 등이 빈번히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외국인의 경우 언어문제로 신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범죄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으로 개인적인 야간 활동은 가급적 자제가
필요하고, 사건 발생시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두는 등 주의가 필요합니다.
ㅇ 또한, 관광지나 유흥가에서 호객행위를 통해 술집이나 맛사지 업소에 데려가 바가지 요금을 징수하고 신고하지
못하도록 협박하거나 폭행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호객꾼에 의해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ㅇ 중국의 교통신호체계는 한국과 약간의 다른 점이 있으니 이점을 유의하여 차량을 운전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보행하여야 합니다. 교통사고 발생시 처리방법이 한국과 달리 현장보존이 우선이라는 점도 유의하여야 하며,
사고발생 후 교통경찰과 의료진의 현장출동이 한국에 비해 시간이 다소 소요된다는 점도 유의하셔야 합니다.
ㅇ 외국인이 많이 사는 아파트 단지나 관광지 등에서 불법으로 운영되는 싼뤈처(三輪車)와 헤이처(黑車)는 교통
사고 발생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책임을 떠넘기는 수법으로 외국인에게 배상을 전가하는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이용을 자제하여야 합니다.
라. 기타 질병 현황
ㅇ 콜레라, 뎅기열 등 전염병 등
마. 주의해야 할 지역
ㅇ 베이징의 한국인 밀집지역인 왕징(望京), 우다코(五道口)에 한국인 관련 사건사고 발생이 많습니다.
특히, 부동산 임대차에 관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만큼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작성시 면밀히 확인하여 작성
하여야 하며, 자전거 운전자가 많은 만큼 자전거와 자동차, 자전거와 보행자간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전동자전거 관련 사고가 많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야간 유흥업소와 그 인근에서 시비에 따른 폭력
사건이 발생하는 만큼 야간 개인활동을 자제하여야 합니다. 중국에서는 주취중의 범죄행위는 법적으로
비주취자의 행위와 똑같이 처벌됩니다. 상대적으로 형을 감경하거나 비교적 음주에 관대한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있는 만큼 절제있는 음주문화가 요구됩니다. 대부분의 사건사고는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ㅇ 베이징의 대표적인 쇼핑타운인 왕푸징(王府井)과 슈세이지에(秀水街) 등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바가지 요금을
요구하는 상인이 많은 만큼 유의하여야 하며, 번잡한 상황에서 소매치기, 강탈 등 사건이 발생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기후와 자연재해]
가. 기후
ㅇ 베이징의 기후는 전형적인 난온대 반습윤 대륙성 계절풍 기후로 여름은 무덥고 비가 많이 오고,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봄․가을이 짧습니다. 연평균 기온이 10~12℃로 1월은 -7~-4℃고, 7월은 25~26℃입니다.
극단 최저온도는 -27.4℃이고, 극단 최고온도는 42℃이상입니다. 연평균 강우량은 600mm로 화베이(華北)지역
에서 강우량이 제일 많은 곳중에 하나인데, 산 비탈지역은 700mm이상입니다. 계절별 강우량이 고르지 못해
전체 강우량의 75%가 여름에 오는데 7월과 8월에는 폭우가 내립니다.
ㅇ 건조하고 뿌연 공기로 악명이 높았던 베이징은 최근 자주 비가 내리고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는 등 확연히 과거
와 다른 기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거 베이징은 시커먼 스모그가 온통 하늘을 뒤덮어 이곳을 처음 찾는
한국인들은 베이징의 날씨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08년 올림픽을 계기로 대기환경이 크게 개선된
베이징은 최근 한국의 가을을 연상케 할 정도로 높고 푸른 하늘을 볼 수 있는 날이 많아졌습니다.
나. 자연재해
ㅇ 신강성과 몽고에서 발원된 황사는 편서풍을 타고 동진 북경주위 공장지대를 지나면서 미세먼지는 질산염,
황산염을 포함하면서 변질되어 독극화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베이징의 4월, 5월은 황사와 꽃가루 때문에
외출하기가 힘듭니다. 특히, 2010년에는 최악의 황사가 잦을 것이라는 예보가 많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황사와 꽃가루로 인해 기관지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교통]
가. 대중교통
ㅇ 항공
- 출발지와 도착지의 기상이변으로 연발착이 잦고 그에 따른 항공사와 공항의 늑장대응이 많은 만큼 기후에 따른
연발착을 고려하여 이용하셔야 하며, 출국시 교통사정을 감안하여 최소 2시간 전 공항에 도착하여 출국을 준비
하는 것이 좋습니다.
ㅇ 버스
- 버스(중국어간체 : 公共汽車, 병음: gonggongqiche)는 시내버스, 장거리 버스 등으로 구분되며, 시내버스의
요금은 버스종류(냉난방 가능여부)와 거리에 따라 계산되며 기본 1위안과 2위안이 있습니다. 장거리버스는
출발지에서 도착지역에 따른 요금이 각기 달리 계산됩니다. 목적지에 따라 버스노선을 미리 확인하여 이용
하시면 편리합니다.
- 공항버스(중국어간체 : 机场巴士, 병음 : jichangbashi)는 공항과 베이징 주요지역, 천진을 연결하는 버스로
요금은 16위안입니다. 짐이 많지 않을 경우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ㅇ 지하철
- 베이징 지하철(중국어간체 : 北京地鐵, 병음: beijing ditie)은 베이징과 외곽 지역을 연결합니다.
현재 8개 노선이 운행중이며 총 93개의 역에 142km가 이어지며 매일 3백만명의 승객이 이용합니다.
2015년까지 총 연장을 561km로 늘린다는 계획이 발표된 바 있습니다. 전구간에 걸쳐 이용요금은 2위안입니다.
최근 북경지역에는 경제성장과 함께 하루 평균 약 400대 이상의 차량이 새로 도로에 나온다고 합니다.
따라서, 북경에서는 주 5일제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하루 온종일 베이징 시내도로는 정체가 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은 특히, 시내 중심가를 방문할 때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ㅇ 택시
- 택시(중국어간체 : 出租汽车, 병음: chuzuqiche)는 2.5km이내 기본요금 10위안이며 초과시 km당 2위안씩
추가되고, 저녁 11시 이후부터 익일 05시까지는 할증요금이 적용됩니다. 거리에 따른 택시비용은 한국보다
저렴한 편이며, 한국과 달리 합승하지 않습니다. 모든 택시는 영수증 발급이 가능하며 영수증에 택시회사 전화
번호, 탑승시간과 거리 등이 기록됩니다. 택시에서 물건을 놓고 내린후 물건을 되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수증이 있을 경우 택시회사에 문의하면 잃어버린 물건에 대해 되찾을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 공항에서 택시를 타고 한국인 밀집지역인 왕징(望京)을 갈 경우 베이징 시내보단 가까운 편이기 때문에 택시
기사들이 오랜 시간 기다려 태운 손님이 가까운 거리인 왕징을 가자고 하면 요금을 더 내라고 하는 경우가 있어
실갱이가 벌어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짐이 많지 않을 경우 공항버스를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나. 도로교통
ㅇ 베이징의 도로는 천안문 광장을 중심으로 1환부터 6환까지 시내를 순환하는 형태로 잘 정비되어 있습니다.
인도, 자전거 도로, 자동차 도로로 구분되며, 출퇴근시간대에는 보행자, 자전거, 차량이 한데 얽혀
특히 차량운전하는데 애로가 많은 편입니다. 여행자의 경우 교통법규를 준수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소매치기에 주의하여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유념하셔야 합니다.
[현지관습 및 치안법령]
가. 단체 여행자
ㅇ 중국은 외국인 단체 여행자들이 많은 편이고, 겨울을 제외하고 날로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단체여행자들은
대부분 단체비자를 소유하고 중국에 입국하게 되는데 이를 분실하여 여행과 한국입국에 불편을 겪는 일이
많습니다. 단체비자를 분실하면 베이징 현지여행사를 통해 공안국 출입경관리처에서 비자를 다시 발급받아야
하며, 시일이 다소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중국에 체류하는 모든 외국인은 중국입국 후
24시간이내 관할 파출소에 주숙등기를 하여야 하는데 호텔 등 숙박업소를 이용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주숙
등기가 됩니다.
나. 종교활동
ㅇ 중국은 종교의 종류가 많고 국민의 신앙이 다양하여 현재 국내에 불교, 도교, 이슬람교, 라마교, 천주교와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가 공존하며 각 종교의 신도가 총 1억명을 넘는다고 합니다.
ㅇ 외국인의 종교활동은 국무원령인 ‘외국인 종교활동 관리규정’에 의해 규제됩니다.
외국인 종교활동 관리규정 제7조에 의하면 외국인이 중국에서 종교인배양을 위해 학생을 모집하거나 또는
중국종교학교에서의 학습과 강의를 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처벌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종교활동 관리규정 제8조에 의하면 외국인이 중국내에서 종교활동을 진행할 때, 마땅히 중국의
법률, 법규를 준수해야 하고, 중국내에서 종교조직 및 종교사무기구, 종교활동 장소 설립 및 종교학교 개설을
금지하며, 중국인들을 신도나 종교직분자로 세우거나 기타 전도활동 수행을 금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동규정 제9조에 의하면, 외국인이 본 규정을 위반하고 종교활동을 진행하면 현급이상 인민정부 종교사무국과
기타 유관기관에서 활동금지를 경고할 것이며 외국인 출입국 관리규정 혹은 치안관리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밝혀지면 공안기관으로부터 법에 의해 처벌을 받게 되고, 사법기관으로부터 법에 의거하여 형사책임을 추궁할
것이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니 유의하여야 합다.
ㅇ 베이징 대사관에는 불법종교집회 및 선교활동 혐의로 한국인이 강제출국 조치를 받은 사건이 많이 접수된 바
있는데 종교활동시 외국인 종교 활동 관리규정을 숙지한 후 종교활동을 하여 기한내출국처분과 같은 조치를
받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다. 대인관계 문화
ㅇ 중국인들은 인사할 때 주로 인사말만 건네는 것이 대부분이며, 남자들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악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과 달리 목례는 하지 않는 편입니다.
ㅇ 중국은 존칭이 존재하나 한국처럼 많지는 않습니다.
그로 인해 남녀노소 대부분 존칭을 사용하지 않는데 한국인들이 이점 때문에 현지인을 상대할 때 예의가 없다고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로 인해 오해가 생겨 현지인과 다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현지인과 접촉시 이들의 문화, 관습과 예의를 존중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의료체계]
ㅇ 외국인의 경우 보험처리가 되지 않아 진료시 현지인에 비해 비싼 편이고, 의료시설은 한국에 비해 약간 낙후
되어 있는 상황이고, 위생관념이 08년 올림픽을 통해 많이 향상되었다고 하나 아직 한국에 비해 미흡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큰 수술이나 장기 치료가 필요시 한국으로 출국하여 치료하는 것이 비용면이나 안전면에서
더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ㅇ 베이징시내 한인 밀집지역에는 한국병원이 있으나 중국병원에 비해 그 비용이 비싼편이긴 하나 중국어가
불가능한 한국인이 이용하기에 유리하고, 중국어가 가능하다면 중국병원에서 진료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ㅇ 수돗물은 석회석 함유량이 많아 식수로서는 부적합하여 가급적 시중 상점에서 생수를 구입, 음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ㅇ 중국을 장기간 방문시에는 가급적 헤열제, 물파스, 감기약, 소화제, 우황청심환, 진통제, 연고, 안약 등 일반
상비약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 음식물이 본인과 맞지 않는 경우 배탈이 나기도 하니 그에 따른
상비약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입국]
ㅇ 비자정보
- 주한중국대사관 영사부에서 비자를 신청하여 발급 받을 수 있으며, 주한중국대사관 영사부의 주소와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 2가 50-7번지
* 전화 : 756-7300, 755-0453, 755-0456
- 중국비자는 유효기간과 체류기간이 분리되어 표시되어 있으니 이를 확인해야 하고, 유효기간을 체류기간
으로 오인하여 불법체류가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불법체류가 될 경우 상황에 따라 구류되거나
벌금형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 중국체류 시 모든 외국인은 입국 후 24시간 이내 관할 파출소에 주숙등기를 해야 하며, 이를 어길시 벌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호텔 등 정식 숙박업소에 숙박 시에는 호텔 체크인이 주숙등기를 대신합니다.
ㅇ 출입국 심사
- 여행 중 여권의 신원정보란(사진과 인적사항이 기록된 페이지)이 여권의 다른 페이지와 분리되는 등
훼손시 입출국에 입출국심사관으로부터 위․변조 여권으로 오인받아 입출국이 불허되는 등 출국에 장시간
소요되는 등 어려움을 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여권을 주의해서 관리하고 여행전 반드시 여권의
훼손여부를 확인하고 훼손된 경우 새 여권으로 여행하시기 바라며 여행 중 부득이하게 훼손되었을 경우
사전에 대사관 영사과에 방문하여 훼손여부에 따른 조치를 받은 후 여권을 휴대하여 다니시는게 안전합니다.
- 북경수도국제공항은 제1, 제2, 제3 터미널의 3개의 터미널이 있으며, 각 터미널마다 취항하는 항공사가
다르니 이를 확인하여 공항 터미널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ㅇ 예방접종
- 한국에서 직접 중국 입국하는 경우 예방주사 접종증명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콜레라, 황열병 등 풍토병도
희소한 편입니다. 최근 신종인플렌자로 인해 출입국시 발열증상이 있을 경우 격리 등 조치를 받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ㅇ 통관 등
- 기내반입 및 반입불허품목으로는 발화성 및 인화성물질, 고압가스 용기, 무기 및 폭발물류, 위조지폐 및
위조유가증권,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도덕에 유해한 인쇄물, 필름, 사진, 녹음 및 녹화테이프, CD,
컴퓨터자료, 각종 마약류, 유해 병해충에 감염된 식물 및 그 제품, 전염병을 전파할 우려가 있는 감염지역
으로부터 반입된 식품, 약품 등이 있습니다.
- 공항으로 입출국하는 모든 여행자(외교관 등 면제대상자 및 어른과 같이 동반여행을 하는 만 16세 이하의
여행자제외)는 반드시<중국세관 출입국여행자 휴대품 신고서>를 작성하여 세관에 성실히 신고해야 합니다.
- 중국현지에서 검사 제조할 목적으로 휴대반입하는 검측 장비, 주형 및 전시용품 물품 등들 세관에 신고
하지 않음으로서 긴급히 사용할 물품을 적시 통관하지 못하거나 중국세관 당국에 압류당하는 불이익을
받는 사례가 없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 세관에 자진신고하지 않고 무신고 통로를 통과하다 적발될 경우 아래와 같이 처리합니다.
* 고의성이 없는 경우에는 벌금 부과 후 통관허용
* 고의성이 있는 경우에는 밀수로 간주하여 해당물품은 몰수하고 해당물품의 세금이 인민폐 50,000위안
미만인 경우 벌금을 부과하며, 세금이 인민폐 50,000위안 이상인 경우 세관집사국(공안기관)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
- 중국의 경우 출국여행자가 휴대하여 기내에 반입하는 주류는 항공기 안전을 이유로 금지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항공사 출국수속시 기탁하여야 합니다.
[기타]
가. 긴급상황시 연락처
ㅇ 범죄신고 : 110, 화재신고 : 119, 교통사고신고 : 122, 응급환자 : 120
ㅇ 재중국한국인회 : 주) 6466-3666, 야) 1370-120-0593
ㅇ 한국상회 : 주) 6464-3481/2, 야) 1366-123-7273
나. Tip 문화
ㅇ 중국에서는 팁 문화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으며, 고급 레스토랑, 호텔 등에서만 서비스를 받았을 때 지급합니다.
다. 한국과의 시차
ㅇ 한국보다 1시간 늦습니다. 시차가 1시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시차로 인해 생활하는데 어려움은 없습니다.
라. 전력사용 현황
ㅇ 중국의 전기시스템은 220V이며 50Hz입니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60Hz용 국산 전자렌지, 세탁기, 냉장고 등
전압차에 민감한 가전제품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마. 언어
ㅇ 중국은 북경어를 표준어로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방언을 쓰기도 합니다. 일반인들 사이에선 아직 영어가 널리
통용되고 있지 않은 편입니다. 대부분 호텔에서는 영어를 사용하여도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습니다.
바. 환전
ㅇ 중국은행은 대부분 환전이 가능하며, 다른 은행은 은행내 환전코너가 있는 경우 환전이 가능합니다.
환전시 반드시 여권을 지참하셔야 가능합니다.
사. 통신
ㅇ 중국에서는 GSM방식과 CDMA방식의 휴대폰 모두를 사용합니다. 휴대폰과 번호를 따로 구입하여 사용하며,
전화국에서 본인명의로 번호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 이외의 모든 번호는 명의확인 없이 구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휴대폰 분실시 찾을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습니다.
ㅇ 인터넷의 경우 4성급이상의 호텔에서는 객실에서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며 따로 사용료를 지불하지는
않습니다. 일반 가정에서는 전화선을 이용한 ADSL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피를 마시는 전문 카페에서는 대부분 무선 인터넷이 가능합니다.
[공관안내]
가. 대사관 주소 및 연락처
ㅇ 주중국한국대사관
- 대사관 주소 : 中國 北京市 朝陽區 亮馬橋 第三使館區 東方東路 20號
(No.20 DongfangdongLu Chaoyang District, Beijing China)
- 전화 : (86-10)8531-0700
- 팩스 : (86-10)8531-0726
- E-mail : china@mofat.go.kr
- 홈페이지 : www.koreanembassy.cn
ㅇ 주중국대사관 영사부
- 주소 : 北京市 朝陽區 東直門外大街 亮馬河南路14號 塔園外交辦公大樓
- 전화 : (86-10)6532-6774/5/ 야간 및 휴일 : (86)136-0103-0178
- 사건․사고 휴대폰: (86)136-0111-7474
- 팩스 : (86-10) 6532-6778/6723
사건사고: (86-10) 6532-2717
- E-mail : chinaconsul@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주청도, 상해, 광주, 심양, 성도, 홍콩, 서안 총영사관의 관할 지역을 제외한 중국지역
(河北,山西,河南,湖北,湖南,江西,北京,天津,內蒙古,新彊,西藏,青海)
ㅇ 주홍콩 총영사관
- 주소 : 5-6/F, Far East Finance Centre, 16 Harcourt Road, Hong Kong
- 전 화 : (852) 2529-4141
- 팩 스 : (852) 2861-3699
- E-mail : info@korea.org.hk
- 홈페이지 http://hkg.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 香港, 澳門
ㅇ 주상해 총영사관
- 주소 : 中國上海市万山路 60號 (200336)
- 전 화 : (86-21) 6295-5000
- 팩 스 : (86-21) 6295-5191/2629
- E-mail : shanghai@mofat.go.kr
- 홈페이지 : http://shanghai.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 上海市,安徽省,江蘇省,浙江省
ㅇ 주청도 총영사관
- 주소 : 中國山東省靑島市崂山區香港東路101號 (266061)
- 전 화 :(86-532) 8897-6001/6002/6003
- 팩 스 : (86-532) 8897-6005
- E-mail : qdconsul@mofat.go.kr
- 홈페이지 : http://www.qdcon.org.cn/
- 영사관할구역 : 靑島市, 山東省
ㅇ 주심양 총영사관
- 주소 : 中國遼寧省沈陽市和平區南13緯路37號
- 전 화 : (86-24) 2385-3388
- 팩 스 : (86-24) 2385-5170
- E-mail : shenyang@mofat.go.kr
- 홈페이지 http://chn-shenyang.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 遼寧省,黑龍江省,吉林省
ㅇ 주광주 총영사관
- 주소 : 中國廣東省天河區體育東路羊城國際商貿中心西塔18樓 (510620)
- 전 화 : (86-20) 3887-0555
- 팩 스 : (86-20) 3887-0923
- E-mail : guangzhou@mofat.go.kr
- 홈페이지 http://chn-guangzhou.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 廣東省,廣西壯族自治區,海南省,福建省
ㅇ 주성도 총영사관
- 주소 : 中國成都市下南大街6號天府綠洲大廈19F
- 전 화 : (86-28) 8616-5800
- 팩 스 : (86-28) 8616-5789
- E-mail : chengdu@mofat.go.kr
- 홈페이지 http://chn-chengdu.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 重庆直辖市,四川省,云南省,贵州省
ㅇ 주서안 총영사관
- 주소 : 中国 陕西省 西安市 高新技术产业开发区 科技路33号 国际商务中心19层
- 전 화 :(86-29) 8835-1001
- 팩 스 : (86-29) 8835-1002
- E-mail : xian@mofat.go.kr
- 홈페이지 http://chn-xian.mofat.go.kr
- 영사관할구역 : 陝西省,甘肅省,寧夏回族自治區
나. 근무시간
ㅇ 월~금 : 09:00~18:00(점심시간 : 12:00~13:30)
ㅇ 토, 일 : 휴무
------------------------------------------------------------------------------------------------------------
ㅇ 해외여행자 인터넷 등록제 '동행'에 가입시, 이메일을 통해 국가별 안전정보와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안전공지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또한, 해외에서 사건사고 발생시, '동행'에 남겨진 연락처로 정부가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습니다.
o 해외안전지킴이 영사콜센터 24시간 연중무휴
[국내]02-3210-0404
[해외] 무료: 현지국가코드 +800-2100-0404/유료: 현지국가코드 +822-2100-0404

'해외안전여행 정보 > 아시아/태평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만은 알고가자! 인도네시아 안전여행정보 (0) | 2010.09.20 |
---|---|
이것만은 알고가자! 인도 안전여행정보 (0) | 2010.09.20 |
즐거운 일본여행, 꼭 알고 안전정보 몇가지 (0) | 2010.09.17 |
중국 상하이 국제박람회 관련 주의사항 (0) | 2010.09.17 |
이것만은 알고가자! 필리핀 안전여행정보 (0) | 2010.09.16 |